현대자동차그룹 간부사원노동조합
 
 


 
 
올린이 : 아시아경제 조회수: 333    추천:120 2015-12-18 10:06:04
현대차노조, 디트로이트를 보라

현대차노조 ,디트로이트를 보라



최종수정 2015.12.17 12:19 기사입력 2015.12.17 12:19



미국 미시간주 최대 도시 디트로이트는 미국 자동차 시장점유율 1위인 GM 본사가 시내에 있고, 포드, 피아트크라이슬러(FCA)의 본사가 인근 지역에 있다. 별명이 자동차의 도시(Motor City)다. 디트로이트의 또 다른 오명은 범죄자의 도시였다. 2009년 GM과 크라이슬러가 파산보호 신청을 하고 재정난이 가중돼 2013년 180억달러의 빚을 갚지 못해 파산했다.



미국 지방자치단체 파산 규모로 최대다. 2008~2009년 금융위기 당시 실업률은 17.5%까지 치솟았다. 회복 불가능일 것 같았던 디트로이트는 2010년부터 회복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영화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시가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파격적인 조건으로 투자유치에 나섰다. 실업률도 5%대로 떨어지고 인구 유입도 늘고 있다.



부활의 진정한 주인공은 자동차산업이었다. 미국 최대 강성노조인 미국자동차 노조(UAW)와 자동차 빅3는 2009년 이중임금제(Two-tier wage system) 시행에 합의했다. 이중임금제는 신규 입사자를 고임금군과 저임금군으로 나눠 시간당 임금을 두 배 정도 차등 지급하는 제도다. 당시 UAW 조합원의 평균 시급과 복지혜택은 시간당 76달러에 가까웠으며, 이는 일본의 경쟁업체 도요타 자동차에 비해 시간당 20달러나 높았다.



파산위기를 겪고 난 후 2011년 FCA는 근로자의 평균시급과 복지혜택 수준을 경쟁업체와 비슷한 수준인 시간당 49달러 수준으로 내렸다.여기에 디트로이트 지역의 완성차업체들이 생산원가 절감에 성공하면서 FCA는 2009년 파산 위기를 넘긴 이래 1만명이 넘는 직원을 추가 고용했다. 이중임금제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구조조정을 가능하게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주었고 미국 자동차업계의 전체적인 고용률 상승에도 도움이 됐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반면에 한국 자동차 메카인 울산은 노조가 회사와 지역경제에 위기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노조는 설립 첫해부터 올해까지 단 4년을 제외하고 25년째 파업을 벌였다. 생산차질만 130만대에 이르고 손실액도 15조원에 육박한다. 올해도 임단협 협상결렬을 이유로 전임 집행부가 3일간 부분파업을 벌였다.

강성의 집행부가 들어서고 나서는 16일 민주노총이 주도한 총파업에 참가해 정치파업을 시작하며 2215대(매출 차질액 457억원)의 손실을 입혔다. 현대차 생산직 초임연봉은 5000만원이 넘고 평균연봉은 9000만원이다. 현대차 사측은 2013년 임단협 체결 이후 입사자부터 이중임금제를 적용하자고 제안했지만 노조에 씨알도 안 먹혔다.



불법ㆍ정치파업으로 공장이 멈추면 현대차는 가까스로 이뤄놓은 판매량 회복세가 다시 꺾이고 자동차산업,지역경제도 휘청인다. 현대차노조가 디트로이트의 몰락과 부활에서 교훈을 찾아보길 권한다.





이경호 산업부 차장 gungho@asiae.co.kr



추천하기

14/67, 총 게시물 : 1338
번호 제 목 작성자 올린날짜 다운 조회수 추천
1078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살펴보니… JTBC 2015-12-19 0 645 139
1077 퍼온 글---유가 하락을 되돌아 본다 퍼온 글 2015-12-19 0 382 139
1076 [사설] ‘디플레 파이팅’ 내년 경제, 국민 삶 실질개선이 과제 헤럴드경제 2015-12-18 0 351 124
1075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본 '한국 기업'…"상사보다 먼저 퇴근하면 배신? 한경 2015-12-18 0 372 118
1074 현대기아차, 왜 미 고속도로 자율주행 면허 취득했을까? 미디어펜 2015-12-18 0 351 134
1073 엇갈린 16일…현대차 '파업' 외칠때 쌍용차는 '소통' 외쳤다 문화저널21 2015-12-18 0 334 127
1072 재계 연말결산] 현대차그룹, 수직화·시너지 배가에 집중 EBN 2015-12-18 0 325 101
현대차노조, 디트로이트를 보라 아시아경제 2015-12-18 0 334 120
1070 현대·기아차 체코·슬로바키아공장 생산 ‘사상최대’ 문화일보 2015-12-18 0 392 130
1069 현대·기아차, 내년 성장 동력 '멕시코'...시장 1위 '닛산' 전략 배워야 아주경제신문 2015-12-18 0 310 111
1068 곽진 현대차 부사장 “아이오닉, 프리우스 능가하는 최고 연비차” 이투데이 2015-12-16 0 355 133
1067 현대차그룹, 내년 제네시스 브랜드 안착 총력화…해외 법인장 회의 개최 아주경제 2015-12-16 0 316 135
1066 ‘신영철 파문’은 끝나지 않았다 한겨레 2015-12-15 0 370 147
1065 엄길청,양양 불루힐 기사 2015-12-15 0 1114 173
1064 이준석 페이스북 글에 누리꾼들 부글부글 한겨레 2015-12-15 0 430 151
1063 [현대차 MK신화] 정몽구 회장 '신의 한수' 기아차 인수 메트로 2015-12-15 7 443 168
1062 신흥국 기업 달러부채, 위기의 뇌관…"터키·말레이시아 위험" 연합뉴스 2015-12-14 0 376 129
1061 전자쇼 공략하는 현대차 예사롭지 않다美 제네시스 브랜드 안착 기회 서울경제 2015-12-14 0 423 132
1060 "신흥국, 통화 가치 절하에도 수출회복 못해" 연합뉴스 2015-12-14 0 361 121
1059 다가온 미국 금리인상…신흥국 자본이탈 불안 확산 한겨레 2015-12-14 0 397 133

[first]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end]
이름 제목 내용